생활에 도움8 육아휴직 중 국민연금과 개인연금, 어떻게 관리해야 유리할까요? 올해 첫 아이를 출산하고 육아휴직 중이신 분이라면 국민연금과 개인연금에 대한 고민이 있으실텐데요."지금 연금을 계속 내는 게 나을까? 아니면 쉬는 게 좋을까?"오늘은 이러한 고민을 바탕으로 육아휴직 중 연금 전략에 대해 정리해드립니다. 1. 육아휴직 중 국민연금, 납부 예외 신청은 언제 가능할까? 육아휴직을 하게 되면 월 70만원~150만원의 육아휴직 급여를 받게되는데요. 이때 납부 예외 신청이 가능한 중요한 기준은 기존 급여의 50% 이하인지 여부입니다.💡 예시기존 월급이 200만원이었다면, 육아휴직급여가 100만원 이하일 경우 납부 예외 신청이 가능합니다.반대로 1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납부 예외가 불가능하고 국민연금을 계속 납부하여야 합니다.그리고 이 경우 납부 기준이 감소한 소득이 아니라.. 2025. 4. 22. 미성년 자녀 청약통장은 꼭 25만 원씩 넣어야 하나요?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이를 가진 부모님들이 한번쯤 고민하게 되는 미성년 자녀 청약통장은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🏡 2024년 청약통장 납입 인정금액 상향! 기존에는 주택청약 종합저축에 매달 10만원까지만 청약 순위 산정시 인정되었지만, 👉 2024년 9월부터는 25만 원까지 인정됩니다! 그렇다면 지금부터 미성년 자녀들 통장에 매달 25만원씩 넣어야 할까요? 자녀가 많은 부모님 입장에선 부담이 만만치 않죠. 👶 미성년 자녀 청약통장은 꼭 25만 원씩 넣어야 하나요?정답은 NO!미성년자가 납입한 청약총장 금액은 최대 5년(60회)까지만 인정됩니다.즉, 몇 살부터 넣든 60회까지만 유효하다는 뜻이죠.그래서 너무 일찍부터 넣을 필요는없습니다.📌 14살 이후부터 월 25만 원씩 .. 2025. 4. 18. 60세 이후 국민연금, 더 내는 게 이득일까?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민연금을 60세 이후에도 계속 납부를 해야 할지, 아니면 저축 또는 우량주에 투자하는 것이 더 나을지를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한 정보를 정리해 드립니다. 60세를 맞이하여 국민연금 납부가 끝나신 분들이나 노후 준비가 궁금한 분들께 도움이될 거예요! ✅ 먼저, 국민연금 임의 계속가입이란? 만 60세 이후에도 국민연금을 더 낼 수 있는 제도 입니다. 국민연금은 원래 만 60세까지 납부하는 게 기본이지만, 원한다면 65세까지 자발적으로 더 낼 수 있어요. 👉 이를 '임의 계속가입자"라고 부릅니다. 💡 임의 계속가입 조건 조건내용대상만 60세 이상 만 65세 미만소득 유무상관 없음 (자발적 가입 가능) 납입 기준소득 無: 9만원 ~ 약 55만원 사이 선택 납부소득 有: 월 소득의 9% 전.. 2025. 4. 14. 유주택자 신혼부부 청약통장, 누구 걸 유지해야 할까? – 남편(유주택자) VS 아내(무주택자)청약통장, 현명한 선택법!안녕하세요 오늘은 유주택 신혼부부가 남편과 아내 둘 다 청약통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청약통장을 어떻게 유지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✅ 핵심 포인트: 청약 목적이 무엇인지 먼저 결정하세요 우선 청약통장을 어떤 용도로 활용할 건지를 먼저 따져봐야 합니다.목적청약통장 전략🔹 공공주택 일반공급 노림통장 가입기간, 납입금액 중요 → 남편 통장이 유리🔹 특별공급(신혼·신생아) 노림무주택 기준 + 납입 '횟수'만 중요 → 아내 통장이 유리🔹 소득공제 목적누구든 월 25만 원 이내 납입 유지 필요 🧾 현재 유주택자는 청약이 가능할까?현재는 유주택자이기 때문에 공공분양의 일반공급이나 특별공급 모두 제한됩니다.다만, 향후 .. 2025. 4. 11. 이전 1 2 다음 반응형